‘매스미디어’란 무엇인가. 글자 그대로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대량의 콘텐츠를 전하는 것을 말할 것이다. 불특정다수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전하는 것이니 시청률이 낮든, 발행수가 적든 나름대로 일정한 대상에게 특정한 아젠더를 전파할 수가 있다. 그것에 동조하든 않든 간에 오피니언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 세상이 되고, 유튜브가 대세가 되면서 이제 고급 엘리트 집단으로서의 메신저 역할은 줄어들고 맥루언이 생각도 못한 직업군이 등장했다. 물론 처음에는 눈요기 거리에서 시작된 하위문화로 치부되었지만 이미 많은 부분에서, 많은 시청자를 흡수하고 있다. 유튜버, 틱톡커로 불리는 인플루언서는 매스미디어의 틈새시장을 파고들어, 혹은 매스미디어에 질린 사람들을 끌어 모아 그들만의 즐겁고, 짜릿한 세상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 시점에 흥미로운 작품이 개봉한다. 박동희 감독의 <드라이브>이다.
한유나는 인기 인플루언서이다. 구독자수가 70만 이란다. 적어도 한유나와 그의 콘텐츠에 관심을 가진(가졌던) 사람이 70만이나 된다는 것이다. 한유나는 밑바닥부터 차곡차곡 다져온 유튜버이다. 아마도, 유튜버가 돈을 많이 번다는 소리를 들었거나, 이런저런 비전 없는 삶을 살다가 이 세계에 발을 들여놓았을 것이다. ‘나도 유튜버가 되어야지’ 하면서 이것저것 다뤄보았을 것이지만 결국 ‘좋아요’와 ‘구독’ 버턴을 누르게까지 하는 데에는 많은 시행착오가 따랐을 것이다. 그런데 결국 70만을 끌어 모은 것이다. 이제 관리하는 소속사도 생기고, 동영상 편집도 해주는 매니저도 생기고 계정이 스노우볼처럼 굴러가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면 팬이 생길 것이고, 더불어 욕심이 생길 것이다. 한유나가 그렇게 과욕을 부리던 순간 납치되어 사연 많은 자기 차(캐딜락) 트렁크에 갇힌다. 납치한 사람은 ‘한 시간 내에 거액’을 벌어들이라는 것이다. 누가 납치했는지, 왜 납치했는지 이유도 모른 채, 한유라는 트렁크에 불편하게 갇혀, 겨우 핸드폰만 켜고 필사적으로 70만을 향한 모금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흔쾌히 ‘좋아요’를 누르고, 구도버턴에 ‘알림설정’까지 한 70만 중에 몇 사람이 이 방송을 진지하게 지켜보고, 거금을 쾌척하여, 목표액을 채울 수 있을 것인가. 당신이라면 장난, 이른바 ‘주작’이라고 치부할 것인가, 경찰에라도 신고할 것인가, 아니면 팬심을 발휘하여 거액의 던질 것일가. 그나저나, 누가 이런 짓을 저질렀을까. 위험한 라이브 방송과 위험한 수용자 테스트가 시작된다.
영화 <드라이브>는 새로운 것은 없다. 밀폐된 공간에 갇힌 사람이 필사적으로 탈출을 꿈꾸거나, 겨우 연결된 전화에 매달려 ‘자신의 상황’을 밀도 있게, 효율적으로 전달해야하는 미션을 받은 것이다. 그런데, 영화는 대놓고 ‘SNS’에 매몰된 현대인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미 ‘인플루언서’는 명칭에 걸맞게 대단한 존재가 되었다. 이른바 레거시 미디어에서라면 진작 검열과 심의, 저널리즘의 고귀한 잣대로 인해 시도조차 못하거나, 전파에서 사라졌을 기획과 행동, 대사, 질주가 무감각하게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 파장은 크다. 온라인의 특성과 익명성에 가려진 무책임은 폭주하게 된다.
영화는 납치된 한유나의 무사귀환을 기원하면서, 납치범의 정체가 궁금해진다. 감독은 유나의 의문스러운 행적과 함께, 몇 명의 용의자들을 얼기설기 배치한다. 그리곤 빠르게 스크롤되는 유튜브 창의 내용과 질주하는 캐딜락의 스피드에 어질어질하게 된다. 물론, 마지막에 납치범의 정체를 알게 되면, <드라이브>가 전하고자 하는 원래의 이야기에 돌아가게 된다. 무슨 이야기? 방송을 둘러싼 인플루언서의 목적과 구독자 ‘클릭’의 목적의 부정교합의 후과를 깨우치게 되는 것이다.
<특송>의 시나리오에 작업에 참여했고, 이번 작품으로 감독 데뷔한 신예 박동희 감독은 이 모든 사달은 채팅, 손가락 끝에서 시작되었다면 ‘손가락의 영화’라고 표현했다. 인플루언서도, 구독자도 모두 해당할 것이다.
▶드라이브 ▶감독/각본:박동희 ▶출연: 박주현 김여진 김도윤 정웅인 ▶제공:메리크리스마스, 미시간벤처캐피탈 ▶배급:메리크리스마스 ▶제작:엠픽처스,점프엔터테인먼트 ▶2024년6월12일/15세이상관람가/90분
[사진=메리크리스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