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인물들의 평범하지 않은 사투가 담긴 영화 ‘내가 죽던 날’이 극장가를 찾아올 예정이다.
오늘(4일) 오후 2시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내가 죽던 날’(감독 박지완)의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현장에는 연출을 맡은 박지완 감독과 배우 김혜수, 이정은, 노정의가 참석한 가운데 작품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나눴다.
‘내가 죽던 날’은 오랜 공백 이후 복직을 앞둔 형사 현수(김혜수 분)가 증인 보호를 받고 있던 소녀 세진(노정의 분)이 실종된 사건을 마무리 짓기 위해 외딴 섬으로 향한 후 마을에 거주하고 있던 순천댁(이정은 분)을 만나며 벌어지는 이야기가 담겼다.
연출을 맡은 박지완 감독은 작품에 대해 “일부러 여성 서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 건 아니지만 내가 평소에 관심 있다고 생각한 이야기를 펼치다 보니 여성 캐릭터들이 많이 나오는 영화가 됐다. 삶의 위기에 몰려 있고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의 인생을 바라볼 때만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을 쓰게 됐다. 시나리오에 참여한 사람들이 그런 의미를 오히려 더 많이 발견해줘서 좋았다”며 작품을 내놓게 된 소감을 밝혔다.
‘내가 죽던 날’은 이상엽, 김선영, 문정희 등 다소 익숙하면서도 연륜 있는 배우들이 다수 등장한다. 이에 대해 ”이 영화는 봐서 알겠지만 김혜수 배우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는 영화다. 다른 배우들이 '김혜수 배우와 함께 연기를 해보고 싶다, 기다렸었다'라고 말하며 캐스팅을 수락했다. 다행이었다“며 함께 작업해준 배우들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실종 사건에 의문을 품고 집요하게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 나가는 형사 현수 역을 맡은 김혜수는 이번 작품을 통해 다양한 배우들과 호흡을 맞췄다. 그 과정을 통해 그는 자신의 사적인 상처 또한 되돌아보는 계기를 가졌다.
그는 ”시기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드러낼 수 없는 좌절감이나 상처들이 있었던 것 같다. 연기하면서 함께 만나는 배우들을 통해 많은 위로를 얻었다. 영화 속 메시지가 그렇듯이 촬영장 속에서도 따뜻한 연대감이 있었다. 이 영화를 만나게 될 관객들에게 이 영화가 어떻게 다가갈지는 모르겠으나, 누구나 남들이 모르는 상처나 고통, 좌절 같은 순간을 깊게 겪으며 살아가지 않나. 요즘처럼 힘든 시기에 영화를 보는 사람들에게는 따뜻하고 조용한 위로가 됐으면 좋겠다“며 훈훈한 메시지를 남겼다.
이어 현수를 연기한 과정에 대해 설명하며 ”이 이야기에서 현수를 포함해서 대부분 인물들에게 가장 중요한 건 진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급적이면 작위적인 것들은 최대한 배제하자는 생각이 가장 컸다. 자연스럽게 현수의 내면을 따랐던 것 같다. 누구나 상처가 있지만 아픈 구석이 있는데 감독이랑 같이 그걸 풀어가면서 실제 내가 경험을 했던 감정, 혹은 상황 같은 것들을 표현하고자 했다. 실제로 작품 속에서 오피스텔에서 잠을 못 자고 악몽을 꾼다고 말하는 장면은 내가 실제로 1년 정도 겪었던 경험이었다“며 자신의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밝히기도 했다.
‘기생충’의 주역 배우 중 한 명이자 ‘내가 죽던 날’을 통해 순천댁 역을 맡은 이정은은 이번 작품을 통해 말을 하지 못하는 연기를 시도했다. 이에 대해 그는 ”나름대로 고민이 있었다. 잘 듣고 반응하려고 했던 게 중요했다. 후시 작업도 많이 했다. 결과적으로 도움이 많이 됐고 장면마다 많이 나오지만, 소리가 없는 부분을 다른 걸로 대체하기 위해서 언어가 없는 순간들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 연구를 많이 했다"고 밝혔다.
그는 공연에서 사지를 못 쓰는 어머니를 데리고 사는 역할을 한 적이 있다. 그만큼 역할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던 그는 순천댁이라는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그런 사람의 삶에 대한 자료를 많이 찾아봤다. '이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라는 상상을 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됐다. 먼저 아픔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 다른 불행을 가진 상대방을 보았을 때, 앞으로 남아있는 인생이 길다는 것, 그리고 삶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끊임없이 생각했던 것 같다"고 언급했다.
실종된 소녀로 미스터리에 둘러 싸인 인물인 세진 역을 연기한 노정의는 떠오르는 신예로 이번 작품을 통해 대배우들과 호흡을 맞췄다.
그는 “쉽지 않은 역할이긴 했지만 그 당시 마음의 상처가 실제로도 컸던 상태였어서 ‘세진’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승화하고 싶었다. 한순간에 모든 걸 잃고 아픔과 상처를 잘 표현하고 싶었다”며 촬영 당시의 심정을 밝혔다.
이어 대배우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게 된 계기에 대해 “교장 선생님 옆에 두 분이 있는 생각 같았다.(웃음) 누를 끼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그냥 부담이었다가 이번 기회를 통해서 부족한 것을 채워나가고, 배워나가고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임했다”며 당찬 각오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극장가를 찾을 관객들에게 배우들은 저마다의 메시지를 남겼다.
이정은은 “누군가가 아프다면 내가 배우 이전에 그 상대방을 도울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노정의 배우가 맡은 역할을 감싸 안을 수 있는 내 역할처럼 말이다. 또한 여성들의 서사가 더욱 풍요로워지고 캐릭터가 입체적인 영화가 앞으로 더욱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노정의는 "누군가가 내 이야기를 들어준다는 걸 감사한 일이다. 우리 이야기 많이 들어줘서 고맙다. 관객들에게도 감사함을 전한다”며 훈훈한 메시지를 남겼다.
한편, 우리와 비슷한 모습을 가진 인물들이 갈등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통해 위로를 건넬 영화 ‘내가 죽던 날’은 오는 11월 12일 개봉 예정이다. (KBS미디어 정지은)
[사진=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