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이 5년간 5조원을 콘텐츠 제작에 투자해 글로벌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CJ ENM 강호성 대표이사는 31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센터에서 열린 'CJ ENM VISION STREAM' 기자간담회에서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고객의 취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콘텐츠 제작 형태를 다변화하여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완결형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강 대표는 “웰메이드 IP 양산 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투자도 대폭 늘려나갈 예정이다”며 “올해만 8,000억원의 콘텐츠 투자 비용이 잡혀 있고, 향후 5년 동안 5조원 규모 이상의 콘텐츠 투자를 실행할 계획이다”라고 콘텐츠 투자를 강조했다.
국내 최고의 콘텐츠 기업으로 성장해 온 CJ ENM이 대규모 콘텐츠 투자를 통해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메이저 플레이어들과 경쟁해 나가겠다는 설명이다.
이 행사에서 CJ ENM은 ▲콘텐츠 제작 역량 고도화 ▲음악 메가(Mega) IP 확보 ▲디지털 역량 강화 ▲ 제작역량 글로벌화에 대한 전략을 내놨다. 이 자리에는 티빙 양지을·이명한 공동 대표이사도 참석해 ‘NO.1 K콘텐츠 플랫폼’으로 티빙의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2016년 스튜디오드래곤을 통해 전문적인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 시대를 열었던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예능·영화·디지털·애니메이션 등에서도 전문화된 멀티 스튜디오 구조를 갖춰간다는 구상이다.
전문화된 스튜디오 구조에서 제작된 콘텐츠는 티빙 뿐만 아니라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OTT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수익성을 확보하고 글로벌향 기획제작역량을 지속 강화해 크리에이터에 대한 동기 부여와 비전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음악사업은 글로벌 확장을 위해 메가(Mega) IP를 지속적으로 확보,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슈퍼스타K>, <아이랜드(I-LAND)> 등 독보적인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K-POP 메가(Mega) IP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 등 대형 글로벌 프로젝트로 결집된 팬덤에 결합해 CJ ENM만의 IP 포트폴리오로 참여·경험형 글로벌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의 절반 이상을 프랜차이즈 IP에 집중 투입
티빙은 콘텐츠 사업자가 고객과 직접 교류할 수 있는 D2C(Direct to Consumer) 플랫폼으로 CJ ENM 디지털 역량 강화 전략의 핵심축이다. 티빙은 D2C 유통환경에서 고객의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직접 제공함으로써 CJ ENM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며 글로벌 플랫폼으로도 확장해 K콘텐츠를 전 세계에 보급하는 창구 역할을 맡는다.
이를 위해 티빙은 2023년까지 약 100여편의 오리지널 제작, 800만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하고 2022년에는 글로벌로 사업을 확장해 ‘No.1 K콘텐츠 플랫폼’이라는 비전을 달성할 계획이다.
티빙은 초창기 20~30대 가입자 중심에서 중장년 유료 가입자 증가율도 출범 대비 올해 4월 기준 40대 28%, 50대 46%, 60대 33%로 크게 늘고 있다. 전체 유료 가입자 중 절반 이상(57.1%)의 고객이 하루에 최소 한 개 이상의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어 전 국민 서비스로 성장하기 위한 기반을 갖췄다.
이명한 공동대표는 “티빙의 오리지널 전략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다양한 취향의 고객들을 티빙의 팬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팬덤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티빙의 전체 오리지널 투자의 50% 이상을 프랜차이즈 IP 육성에 집중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티빙은 <응답하라>, <슬기로운 생활>, <신서유기>, <대탈출> 등과 같은 프랜차이즈 IP 육성하고 총 6,000편 이상의 영화, <신비아파트>같은 키즈 및 성인 타깃의 다채로운 애니메이션을 비롯해 신선한 기획이 돋보이는 다큐멘터리, 프리미엄급 스포츠 중계 등의 다채로운 콘텐츠로 다양한 팬덤의 취향을 충족시킬 계획이다.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 강호성 대표는 “올해 1분기 CJ ENM이 광고시장 회복세를 뛰어넘는 좋은 실적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콘텐츠 아이피들이 라인업이 좋아서 흥행성공을 거둘 수 잇었다.”고 자평했다. 파주에 1800억원을 투자하여 축구장 32개 규모의 초대형 콘텐츠 스튜디오를 짓겠다면서 “CJ ENM 제작역량을 차별화 시키는 방안 중 하나가 멀티 스튜디오 시스템이다. 포맷과 장르를 아우르고 트랜스미디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준비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넷플릭스와 하반기 한국 상륙이 분명해 보이는 디즈니플러스와의 경쟁에 대해서 이명한 대표는 “글로벌 OTT가 한국 시장에서 선전하려면 이른바 ‘K콘텐츠 맛집’이 없으면 힘들 것이다. 그런 조건에 부합하는 것이 CJ ENM이다. JTBC, CJ ENM, 스튜디오드래곤은 오랜 시간 한국입맛에 맞는 제작시스템을 공고히 해왔다. OTT시장이 TV시장과 같은 환경은 아니지만, CJ ENM은 그러한 경험이 있고, 이용자가 어필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이 만들 수 있다고 자신한다. 그리고, 실시간 스트리밍 경험도 많고, 다른 사업자와는 달리 부가콘텐츠를 통한 차별화된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해외OTT들과의 협력과 관련해서 강 대표는 “다양한 해외콘텐츠 플랫폼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지금은 포커스를 조금 미국과 일본 등 주요시장에 맞추고 있다는 점과 동남아진출을 생각 중이라는 것만 밝히겠다”고 말을 아꼈다.
7천여 명의 크리에이터가 CJ ENM과 협력을 펼친다는 것이 큰 자산이라고 밝힌 CJ ENM은 ‘제작 자율성’ 문제에 대해 이명한 공동대표가 이렇게 덧붙였다. "각 제작사와 크리에티터가 주관적으로 느낄 수도 있겠지만 제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지금 현재 ENM 내부에 이렇게 많은 탑 크리에이터가 모인 이유가 답이 되지 않을까 한다. 현재 한국에서 산업적으로 전문 스튜디오 체제를 세팅한 주체가 ENM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그런 형태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