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플러스, "K-콘텐츠, 하반기 풍성합니다"
23일 오전, 서울 강남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한국본사에서는 한국 서비스 런칭 4년 차를 맞이한 디즈니플러스가 하반기에 공개할 K-콘텐츠를 소개하는 ‘디즈니플러스 오픈하우스’ 행사가 열렸다.
최연우 로컬콘텐츠총괄은 “디즈니+는 2021년 론칭 이후 40편이 넘는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를 선보이며, 콘텐츠 영역을 넓혀감과 동시에 한국 콘텐츠 시장의 성장에도 꾸준히 힘쓰고 있다. 특히 <무빙>, <카지노>, <킬러들의 쇼핑몰>, <조명가게> 등 디즈니+가 선보인 다수의 작품이 한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반응을 얻으며, K-스토리텔링의 보편성과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2025년 디즈니+는 더 넓은 장르 스펙트럼과 실험적 포맷을 아우르는 한국 콘텐츠를 선보이며, 전 세계 시청자와의 연결을 한층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메이드 인 코리아
디즈니코리아에 따르면 <카지노>(22년 12월) – <무빙>(23년 8월) – <킬러들의 쇼핑몰>(24년 1월) – <조명가게>(24년 12월) 등의 대표작들은 한국을 넘어 글로벌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자평했다. <카지노>는 시즌 2 공개 첫 주, 디즈니+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 중 글로벌 최대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시즌 1의 기록을 경신했다. <무빙>은 2023년 디즈니+ 전 세계 로컬 오리지널 콘텐츠 중 최다 시청 작품에 올랐으며, 미국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즈(Critics Choice Awards)'에서는 최우수 외국어 드라마 부문 후보에 올라 글로벌 인지도를 넓혔다.
<킬러들의 쇼핑몰>은 2024년 디즈니+ 한국 오리지널 중 전 세계 최다 시청 타이틀로 선정됐으며, 뉴욕타임스가 발표한 ‘2024년 최고의 인터내셔널 TV쇼’로도 꼽히며 장르적 다양성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조명가게>는 전 세계 디즈니+에서 <무빙> 다음으로 가장 많이 시청한 한국 콘텐츠(공개 12일 기준)로 등극, 디즈니+ 한국 오리지널의 세계관 확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북극성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으로 전 세계 디즈니+ 로컬 오리지널 콘텐츠 최다 시청 작품 상위 15개 중 9개가 한국 작품으로 선정되며,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증명했다.
올 하반기 디즈니플러스를 통해서 <파인:촌뜨기들>,<메이드 인 코리아>,<북극성>,<조각도시>,<탁류> 등 강력한 K-콘텐츠가 공개될 예정이다.
최연우 총괄은 K콘텐츠의 모멘텀을 지속하기 위해 탄탄한 서사와 완성도, 최정상급 배우와 제작진이 참여하는 스케일이 큰 ‘텐트폴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기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텐트폴 콘텐츠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장르, 스토리, 포맷의 작품 카테고리로, 보다 다채로운 포트폴리오 구성 측면에서 ‘엄선된 셀랙션’을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국내 제작사 및 창작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프랜차이즈 잠재성을 지닌 한국 콘텐츠를 개발할 것이며, 시청자의 소비 패턴과 취향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포맷의 콘텐츠 실험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이브 미디어코프 김원국 대표(왼쪽),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로컬 콘텐츠 총괄(중앙), 메리크리스마스 유정훈 대표(오른쪽)
‘디즈니플러스의 콘텐츠 전략 소개에 이어 한국 콘텐츠 제작사와의 토크 세션이 열렸다. 영화 <서울의 봄>과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공개될 <메이드 인 코리아>를 제작한 하이브 미디어코프 김원국 대표와 <킬러들의 쇼핑몰>의 메리크리스마스 유정훈 대표가 참석하여 글로벌 OTT기업 ’디즈니플러스‘와의 작업 소감에 대해 밝혔다.
김원국 대표는 "모바일 중심의 라이프스타일로 변화되면서 스트리밍 플랫폼이 강력해졌다. 우리도 OTT의 등장과 함께 드라마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제는 스트리밍에 어울리는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는 타깃층을 겨냥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작품을 만들면서 시리즈화나 스핀오프를 만들 수 있게, 세계관을 확장할 수 있는 콘텐츠 위주로 기획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메리크리스마스 유정훈 대표는 “글로벌OTT의 등장으로 방송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허물어졌다. 레거시 미디어와 극장이라는 공고한 시장이 존재했으나 이제는 각각의 포맷에서 제한된 역할을 수행하던 크리에이터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양한 포맷과 플랫폼을 넘나들며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콘텐츠를 소비하는 계층은 ‘패스트 컨슈머(Fast Consumer)’가 되었고, 시청 방식은 ‘온디맨드(On-demand)’로 정리된다. OTT는 그런 트랜드를 충족시킨다. 새로운 작품을 기획할 때는 그런 OTT에 어울리는 긴장감과 속도감을 놓치지 않는 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내년(2026년)에 공개될 한국콘텐츠도 깜짝 공개했다. 드라마 수지, 김선호 주연, 한재림 감독의 <현혹>과 오리지널 예능 <운명전쟁49>가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될 예정이다.
[사진=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