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60분
“안정적인 수익을 약속합니다, 미술품에 투자하세요”
고수익과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투자자들을 끌어모은 갤러리K. 이들은 투자자들에게 그림을 판매한 뒤 다시 해당 그림을 기업이나 병원 등에 렌털해 수익을 발생시켜 투자자들에게 나누어주는 이른바 ‘아트노믹스’ 상품을 주력으로 내세웠다. 연 7~9%에 달하는 높은 투자 수익률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한 갤러리K는 설립 8년 만인 2023년, 연 매출 660원을 기록해 업계 1위로 올라섰다고 홍보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국세청의 특별세무조사를 계기로 갤러리K의 재무 상태와 사업 구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불과 두 달여가 지난 시점, ‘경기 침체로 회사 운영이 어렵다’고 하던 갤러리K 김○○ 대표가 해외로 도피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결국 투자자들은 집단 소송에 나섰고 현재까지 알려진 피해 금액만 수백억 원에 달한다. 갤러리K에 그림을 판매한 작가들 역시 대금 지급을 요구하는 소송에 나서기로 했다.
도피 직전까지도 사업을 정상화하겠다며 고객들을 기만했던 김○○ 대표. 그는 과연 미술계에서 어떤 사람이었을까. 또 그가 내세운 갤러리K의 아트테크는 단순히 실패한 비즈니스였을 뿐인가, 아니면 계획된 폰지 사기였을까.
<추적 60분> 1397회 「사기가 된 예술, 갤러리K 아트테크」 편에서는 갤러리K의 실체를 분석하고, 의혹의 중심에 있는 김○○ 대표의 과거를 추적해 본다.
<추적 60분> 제작진은 취재 중 김○○ 대표의 과거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제보자를 만날 수 있었다. 오래전부터 갤러리K와 김○○ 대표를 주시하며 갤러리K 사태가 벌어질 것을 예감하고 있었다는 제보자. 과연 김○○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갤러리K 사건은 미술품 투자 시장의 난맥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김○○ 대표는 기회가 절실한 예술가와 미술 지식이 부족한 투자자, 새로운 상품을 갈망하는 금융 업계와 같은 시장의 약한 고리를 공격적으로 파고들었다. 갤러리K 사건을 통해 우리나라 미술품 투자 시장현실을 조명해 보는 <추적 60분> 1397회 「사기가 된 예술, 갤러리K 아트테크」 편은 1월 24일 금요일 밤 22:00 KBS 1TV에서 방영된다.
[사진=K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