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가 저무는 마당에 새로운 국제영화제가 출범했다. ‘문예부흥’을 기치로 내걸로 강릉에서 열리는 강릉국제영화제이다.
8일 오후 강릉아트센터에서는 이번 영화제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강릉출신의 배우 김래원을 비롯하여 김서형, 문소리, 임권택 감독, 이창동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김동호 조직위원장, 안성기 자문위원장과 개막작인 <감쪽 같은 그녀>의 허인무 감독, 배우 나문희, 김수안, 고규필, 진선미, 최정윤, 임한빈, 강보경, 심완준 등이 참석한 레드 카펫 행사에 이어 개막식이 열렸다. 강릉국제영화제는 ‘영화 & 문학’, ‘마스터즈 & 뉴커머즈’, ‘강릉, 강릉, 강릉’ 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영화제 이틀째에는 개막 전부터 주목받은 ‘20+80: 21세기 국제영화제의 회고와 전망’ 행사가 저녁 6시부터 두 시간 동안 펼쳐졌다. 이번 포럼에는 김동호 조직위원장, 가린 누그로호 욕자카르타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 로나 티 마카오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마르틴 떼루안느 브졸국제아시아영화제 조직위원장, 사무엘 하미에르 뉴욕아시아영화제 집행위원장, 마에다 슈 후쿠오카아시아영화제 집행위원장, 히사마츠 타케오 도쿄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키릴 라즐로고브 모스크바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윌프레드 웡 홍콩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펼쳐지는 영화제 위원장들이 모이는 자리였기에, 그 관심을 반영하듯 포럼이 열리는 명주예술마당 공연장의 객석은 가득 찼다.
김홍준 강릉국제영화제 예술감독이 던진 두 가지 질문, ‘지난 21세기동안 국제영화제를 운영하며 겪었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은 무엇인지’, ‘국제영화제가 지속되려면 필요한 요인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각국의 국제영화제 위원장들이 직접 영화제를 운영한 경험을 토대로 답변을 했다. 예산 부족으로 인한 재정 위기, 정부의 검열, 정치적 상황으로 인한 관객의 감소 등을 겪어본 위기로 언급하며, 사무엘 하미에르 뉴욕아시아영화제 집행위원장은 "지속 가능한 영화제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영화제만의 정체성을 가지는 것이고 관객 규모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제는 영화의 축제라는 것을 기억하고 즐기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가린 누그로호 자카르타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은 "디지털 언어에 익숙한 젊은 세대의 등장의 활용이 중요하며, 이제는 커뮤니티를 넘어 접속과 연결의 시대다. 재정도 중요하지만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영화제의 지속 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답변을 남겼다.
영화제 위원장들이 각자 의견을 공유한 이 소중한 자리를 마치면서 김동호 조직위원장은 "많은 국제영화제를 방문하면서 각국의 집행위원장들이 모이는 포럼을 많이 보지 못했다. 이번 포럼을 통해 서로간의 경험을 공유해 영화제의 미래 비전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예영화라는 제도, 장르, 미학’이라는 주제로 강연도 펼쳐졌다. 오후 2시 CGV 강릉 5관에서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상영 후, 고려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박유희 교수가 문예영화의 전성시대였던 196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가 문학과 관계 맺어 온 역사를 살펴 보았다. 이 강연에서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흥행이 한국 전쟁 이후 과부가 사회적 문제가 되며 관객들에게 공감을 이끌어냈기 때문이라는 배경을 설명하고, 한국 예술 영화와 문학의 관계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또한 한국적이고 향토적인 영화의 영화제 수상이 우리 영화의 세계화라고 여겨져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다는 과거의 이야기를 관객들에게 전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등장이요
2018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오후 4시부터 CGV 강릉에서 <원더풀 라이프>영화 상영 후 약 40분간 만남을 가졌다. 그는 “나에게 영화란 직업이자 풍요롭게 해주는 일”이라며 “이창동 감독의 <밀양>을 좋아한다. 오늘 아침에 호텔에서 조식을 먹으면서 이창동 감독과 전도연 배우를 만나 이 이야기를 했다”고 자랑하며 관객들과 화기애애한 시간을 가졌다.
강릉시(시장 김한근)와 주관기관인 강릉문화재단(상임이사 이홍섭)이 주최하는 제1회 강릉국제영화제는 지난 8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14일까지 강릉아트센터, CGV 강릉,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 고래책방, 경포해변 및 강릉시 일원에서 펼쳐진다. (KBS미디어 박재환)
[사진=강릉국제영화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