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벼랑에 걸린 대한민국(경제)을 살린, 혹은 혹독하게 구조조정 시킨 IMF(사태)의 비극이 스크린에서 재현된다.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 김홍파, 조한철 등 배우들의 열연은 당시의 상황을 극적으로 재연한다. 유아인은 이번 작품에서 특별한 캐릭터를 연기한다. 단군이래 최대의 경제위기 속에서 ‘고통’도, ‘발뺌’도, ‘자살’도 아닌, ‘기회’를 포착한 인물 윤정학을 연기한다. 악역이랄 수도 없는 ‘기회의 남자’ 유아인을 만나 영화이야기와 유아인이라는 청춘의 아이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유아인은 “시나리오를 받고 영화자체에 대한 끌림은 있었다. 전작(‘버닝’)을 끝내고 시간적 여유가 없어 고민을 잠깐 했다. 하지만 ‘버닝’처럼 혼자 끌고 가야하는 작품이 아니었다. 든든한 선배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돈이 많은 것을 좌우하는 요즘 세대에도 공감을 드릴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영화를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영화를 보고난 소감은.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정의도 있고, 욕망도 있고, 결핍 때문에 가슴 아픈 상처를 가진 사람도 있다. 저마다의 사연이 있고 그것이 극대화된 영화이다. 내가 맡은 정학은 욕망을 대변한다. 얄밉고 영악하게 느껴지지만 이해 못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저조차도 그런 욕망이 있으니까. 그런 욕망이 절대적인 것도 아니다. 돈을 많이 번다고 해서 절대적인 행복을 느끼지도 않는다. 어느 순간에는 하늘을 올려다보고 자기의 한 순간을 돌아보게 되는 인간일 뿐이다. 나는 보통의 인간의 마음을 표현한 캐릭터였었다고 생각한다.”고 윤정학을 소개했다.
젊은 배우로서 생각이 깊고 달변가로 잘 알려진 유아인은 이날도 모든 질문에 거침없이 자신의 의견을 펼쳤다. ‘윤정학’에 대한 생각을 부연했다.
“절대악도 아니고, 기회주의자도 아니다. 단순하게 부정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는 인물이다. 우리는 기회주의적으로 굴지 않으면 어리석다고 말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나에게도 그런 판단의 순간이 많이 주어진다. 좀 더 안정적으로, 좀 더 편안하게, 좀 더 많이 추구하며 살아가도록 요구받는다. 그게 이 세상이다. 나는 그런 사회를 온몸으로 맞닥뜨리면 살아왔다. 그러니, 영화의 주제를 떠나 내 안에 내재된 욕망, 가치관, 신념이 무엇인지 돌이켜 볼만 했다. 그런 것을 관객 분들도 느껴줬으면 한다.”
유아인다움은 영화 속 패션에서도 드러난다. “다른 영화 때에도 패션 콘셉트에는 적극 참여했다. 이번 영화에서 내게 요구하는 것이 있다. 모노톤의 인물 속에서 색채감을 주는 존재다. 제멋에 취한 인물을 의상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었다. 윤정학은 흔히 생각하는 슈트차림의 금융맨이 아니다. 남들과 다른 시야를 가졌고, 과감한 선택을 하는,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는 젊은이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 젊은 마인드 유아인
이번 영화에서도 유아인다운 젊은이의 의지가 투영되었나.
“저는 젊은 사람 편이니까요.”라며 웃는다. “젊은이들이 가진 어떤 욕망, 결핍들이 과거로부터 어떻게 비롯되었나. IMF 하나가 절대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결국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혹은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그 무언가가 우리 삶속에 침투한 것이다. 기성의 질서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그런 고민을 가져갈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기성세대를 이야기하다가 드디어 ‘SNS유아인’을 이야기하게 되었다. ‘퍼거슨’과 함께 이야기되는 유아인SNS말이다.
“나는 삶을 재미있게, 의미 있게 살고 싶어 하는 사람이다. 모두가 하는 SNS를 배우라고 못할 이유가 뭐가 있나. 소통의 창구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진지하게 접근하고 싶다. 어설픈 정답을 꺼내는 것이 아니라, 소통을 통해 함께 정답을 찾아가는. 그런 모습이 때로는 위태로운 느낌을 줄 수도 있겠지만 그런 것이 저의 삶, 저의 선택, 저의 직업을 보여드리는 것이다.”
유아인은 때로는 크게 웃으면서, 때로는 날카롭게, 그러면서 할 이야기를 다 한다. 오해를 받는 것에 대한 부담감은?
“저마다 삶을 추구하는 방식이 있다. 온전하게 자신만의 선택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모든 존재와 역할을 존중하는 마음이 있었으면 한다. 더 나은 순간을 우리가 찾아가고 있다는 생각, 어느 정도의 공감대가 있으면 좋지 않을까.”
유아인의 이야기는 계속된다. “이런 자리에서는 영화를 더 잘 소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좀 더 단어를 선별하고. 여기 오신 기자들도 그렇지만, 결국은 관객이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사람이다. 즉각적인 것만이 목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를 한다고 본다. 어제보다 더 나은 내일을, 오늘이 어제보다 낫다는 기분을 가졌으면 한다.”
윤정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생각도 밝힌다. “과연 그런 사람이 부러울까. 왜 저렇게 살지, 저 사람은 행복할까 생각한다. 관객들에게 나는 어떻게 살아야할까 이런 생각도 전해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하더니, “그런데, 그렇게 사는 사람이 많이 벌어요.”라고 덧붙여 웃음이 터졌다.
● IMF피해자, 가장 예의 있는 접근의 영화
영화에서 IMF이야기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IMF라는 거창한 이야기를 다루면서, 담담한 방식을 택했다. 너무 멋 부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이야기를 전달한다. 사건을 복기해보고, 그 사건을 통해 지금의 삶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갑수 같은 캐릭터가 나오지만 IMF의 직격탄을 맞아 상처 입은 분들이 있다. 오래된 이야기도 아니다. 이야기를 다루는 방식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가장 예의 있는 접근이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드라마틱하게 감정적으로 다룰 수도 있을 테고, 있는 위로, 없는 위로 한답시고 ‘여러분 잘 사셨습니다’라고 소리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어느 한 편을 악당으로 몰아갈 수도 있을 것이다. 영화에서는 이런 존재, 저런 존재를 담았다. 이 정도 ‘톤 앤 매너’라면 IMF를 다루면서 가장 현실적이 선택이 아닌가. 무례적하지 않은 방식으로 말이다. 분노를 가져오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가적인 사건을 다루는 영화에서 현실을 보여주고, 우리 삶을 바라보게 하는 방식이 신선하다고 생각된다.”
기성세대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이런 말도 했다. “(권력을 가진 자들이) 달콤함으로 아이들을 유혹해서 자신들 살아가는 세상의 쳇바퀴로 만들어 통제하고 살아가게 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제가 원하는 것은 희망이고, 행복이고, 사랑이고 교류이다.”
● 앞으로도 계속 소통하고 싶다
향후 계획은? “정해진 것은 없다. 이전보다 다양한 시나리오와 드라마가 들어온다. TV쇼도 있고. 그쪽으로 마음이 기울기도 한다.”면서, 작품 선택의 고민을 토로한다. “이전에는 선택이 쉬웠던 것 같다. 지금은 더 많이 보여드리고, 더 높이 올라가고, 앞장서서 가는 문제가 아니다. 선택 하나하나가 창조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 삶을 꾸리면서 대중들과 호흡하며 재미를 만들어가는 것이 과제인 것 같다.”
유아인이 인터뷰에서 밝힌 것은 KBS에서 도올 김용옥과 함께 하는 토크쇼 <도올아인 오방간다>라는 프로그램이다. “여태 말한 모든 것이 녹아있는 프로그램이 될 것 같다. 솔직하게 시청자와 소통하고, 뭔가를 찾아가는, 함께 친구가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것 같다.”며, “기대해도 좋습니다. 삼일운동 100주년 기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관심을 가졌다. 배우의 역할을 확장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의욕을 보인다.
영화 <국가부도의 날>은 지난 28일 개봉되었고, KBS의 신개념 지식 버라이어티 쇼 <도올아인 오방간다>은 내년 1월 시청자를 찾을 예정이다. (KBS미디어 박재환)
[사진제공: UAA, 김재훈 포토그래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