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0일) 오후 10시 KBS 1TV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는 크론병에 대해 알아본다.
장내 염증의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며 설사와 복통을 유발해 오랜 시간 관리해야 하는 만성염증성 장질환 중 하나가 바로 크론병이다.
원인을 특정할 수 없어 예방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 환경 변화와 가공식품의 섭취가 늘며 크론병 환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환자들은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복통, 설사, 체중 감소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 큰 괴로움을 느낀다. 계속되는 설사와 복통으로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질병. 크론병은 대체 무엇이고 치료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KBS1TV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알아본다.
크론병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인자, 환경적 인자, 장내 미생물 총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어느 부위에서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 만성염증성 장질환이다. 크론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설사, 복통, 체중 감소이다. 하지만 크론병의 조기 진단은 어려운데 크론병의 흔한 증상인 복통, 설사를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 오해해 진단이 늦어지기도 하고 장 속 염증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치루를 항문의 문제로만 인식해 엉뚱하게 치료하다 보면 그 사이 장은 염증으로 상황이 심각해진다. 치루, 과민성 대장증후군과 비슷한 증상으로 질병을 오해하기는 쉽고 진단은 늦어진다. 늦기 전에 정밀한 검사를 통해 염증을 치료해야 한다.
■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증가
학계에서는 산업 혁명으로 생활환경이 변화하고 패스트푸드를 비롯한 가공식품이 등장해 서양에서 크론병 환자 수가 늘기 시작했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서구화를 거치며 한국, 일본, 중국에서도 크론병 환자가 늘고 있다. 2019년 기준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가 3만 7000여 명, 크론병 환자가 1만 8000여 명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같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만큼 염증을 완화시키는 약제인 생물학적제제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TNF 억제제인 인플릭시맵이 주된 약제로 쓰였지만 이후 인터루킨 억제제(2009), 인테그린 억제제(2017)가 국내에 출시되었다. 올해는 JAK 억제제가 출시되며 많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에게 힘이 되고 있다.
장 속 염증이 심해졌다가 완화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크론병은 오랜 시간 관리와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병이다. 염증이 완화되어 설사, 복통과 같은 증상이 없다는 이유로 치료를 멈춘다면 장내에 남아 있는 적은 염증이 심해져 치루와 같은 합병증으로 돌아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속적인 점막 치료는 필요하다.
■ 사소하지만 세심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크론병 환자들은 심한 복통과 설사로 화장실을 자주 찾는다. 또한, 합병증으로 인해 장 절제술을 받은 후 장루를 달고 생활한다면 야외 활동을 할 때 수시로 쌓이는 장루 주머니를 공중화장실에서 비워야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는 일부 병원을 제외하곤 장루 환자를 위한 화장실은 없다.
미국, 일본에서 장루 주머니를 편하게 교체하고 비우는 전용 화장실을 설치하자는 캠페인이 활성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장루 전용 화장실 확대 설치에 관심을 기울이며 정책적으로 장루 화장실의 설치를 촉구할 필요가 있다.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환우들을 위한 사소하지만 세심한 배려로 그들과 함께 일상을 살아가도록 노력해 보자. 오늘 방송되는 KBS1TV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크론병의 관리와 치료법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