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4일) 방송되는 KBS 1TV [추적 60분]에서는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삶을 추적하는'7제곱미터의 삶'이 방송된다.
'고시원에는 고시생이 없다'는 말을 들어봤는가? 국가고시가 사라지고 공무원의 직업적 인기가 사그라지면서 고시생은 고시원을 떠났다. 이제 각자의 이유로 고시원에 모여든 사람들이 그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고시원에 사는 인구는 대략 15만 명. 이들의 인생 첫걸음을 위한 디딤돌이기도, 재도약의 발판이기도, 마지막 숨을 내쉬는 곳이기도 한, 3평 남짓 작은 방. 불 지필 곳은 없어도 마음이 더운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 도시 생활에 지친 몸 뉠 수 있는 유일한 공간. <추적 60분>이 이런 도시의 방에 문을 두드려 봤다.
30여 년 전, 신림동(법정명: 대학동)은 합격을 꿈꾸는 고시생들이 모인 고시촌이었다. 중장년이 되어도 여전히 신림동에 있는 사람들. 추적 60분은 20년 전 인터뷰했던 불혹의 고시생을 수소문해서 만났다. 27년이 지난 지금, 그는 신림동을 떠나지 못하고 있었다. 시험에 낙방한 후, 그는 경비 일과 막노동을 전전했다. 사는 것이 고역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여전히 작은 고시원 방에 몸을 누이고 있었다. 그와 같이 녹록지 않은 삶을 산 이들이 신림동으로 떠밀려 왔다.
신촌 고시원에는 케이팝을 사랑하는 브라질 소녀 헤나타가 살고 있다. 신촌의 한 고시원은 마치 외국 대학교의 기숙사를 방불케 한다. 외국인 유학생과 대학생이 신촌 고시원을 인생의 첫 번째 방으로 삼고 있었다. 한편 강남에는 서울로 기회를 잡으러 온 청년들이 머물고 있다. 우리가 만난 고시원 거주자 김종백 씨.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그의 고향은 전라북도 전주다. 그는 고시원이 디딤돌 같은 곳이라고 말한다. 서울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유일한 거주지였다고. 그들에게 고시원은 희망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닐까?
가족의 해체와 사업의 실패. 예측할 수 없는 인생의 궤적으로 고시원에 다다른 사람들. 그들 역시 한때 한 가정의 가장이었고, 사업체의 대표였고, 방송에 나올만한 대가였다. 그들은 고시원에 살면서도 여전히 희망을 안고 있었다. 용산구의 고시원에 사는 최권표 씨. 그는 기초수급자가 되었지만, 여전히 자신을 도와주는 이들에게 정중히 감사함을 표하고 자신보다 어려운 이들을 돕고 싶다고 말한다. 차를 광택 내는 기술에 권위자였던 정삼선 씨도 현재 가족과 떨어져 혼자 살고 있지만 목표와 꿈이 있어 버틸 수 있다고 말한다.
고독사의 11%는 고시원에서 일어난다. 고시텔 주인 박영숙 씨는 자신을 고시원 거주자들의 엄마라고 말한다. 모텔 청소부터 시작한 서울 생활. 지금은 고시원 주인이 되었지만, 고생스럽던 시절을 잊지는 않았다. 영숙 씨는 고시원을 운영하며 3명의 죽음을 지켜보았다. 그녀는 막걸리를 부어 명복을 빌어주는 것으로 세상을 떠난 이들에게 예를 갖추었다. 암 환자인 고시원 거주자와 병원에 동행하기도 하고 복날에는 닭죽을 끓여 거주자들에게 식사를 대접하기도 한다. 매일 고시원 거주자들의 안녕을 묻는 영숙 씨의 고시원을 <추적 60분>이 찾아가 봤다.
<2023 고시원 르포, 7제곱미터의 삶>은 2023년 8월 4일 밤 10시에 KBS 1TV에서 방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