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선 감독 ⓒ 넷플릭스 제공
공개하자마자 넷플릭스 3위에 오른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김홍선 감독이 화상 인터뷰를 통해 작품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꺼냈다. 장르물의 대가인 그는 넷플릭스에 공개된 이번 작품을 통해 글로벌 팬을 만났으며 다양한 리뷰와 마주했다.
Q. 이전에 드라마 '루카 더 비기닝'으로 서면 인터뷰를 하면서 장르물에 대한 애착을 드러냈던 답변이 기억난다. 그때 다가오는 '종이의 집' 리메이크를 가장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고 현재 결과물이 공개됐는데 만족하는지 궁금하다.
만족은 했던 것 같다.(웃음) 늘 노력은 하고 있는데 '또 잘해야지, 다음 작품은 더 잘 해야지'라고 노력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내가 만족이 된다고 하면 이상하긴 하다. 일단 열심히 만든 것 같다.
Q. '종이의 집' 속에는 다양한 인물들의 군상이 등장하는데, 평소 본인의 실제 모습과 비교했을 때 등장인물들 중 어떤 인물과 가장 닮아있는지, 어떤 인물을 각색하면서 가장 공감이 갔는지 궁금하다.
나는 현실적이고 주제 파악을 잘 하는 편이라 그렇게 보면 덴버 같다. 주제 파악을 제일 잘 한다.(웃음)
김홍선 감독 ⓒ 넷플릭스 제공
Q. 뉴스 기사들도 그렇고 영화 관련 커뮤니티 상에서도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에 대해 호평과 혹평이 반반 정도로 나뉘어 올라오고 있는 것 같은데 본인이 보기에 기억에 남는 평가가 있는지 궁금하다.
원작을 많이 보고 리메이크도 보신 상황이다 보니 더 많은 것 같다. 호불호가 많아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래도 보신 분들이 많다는 것은 좋은 점이라고 생각했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다. 분명히 말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공개한지 얼마 안 되어서 리뷰를 잘 안 보고 있다. 기사라던가, 리뷰를 잘 안 보려고 한다. 크게 남는 평가라기보다는 외국 분들이 "왜 (리메이크) 했냐"고 물어봤던 부분들은 기억에 남는 것 같다.(웃음)
Q. 캐릭터들 저마다의 매력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케이퍼 무비 특성상 캐스팅에 있어서 심혈을 기울였을 것 같다. 원작의 캐릭터들이 사랑을 받았기에 더욱 부담감이 있었을 것 같은데 캐스팅 과정은 어떠했는가?
예를 들어 웹툰으로 작품을 만들 때처럼 원작을 가지고 작업을 하는데 싱크로율을 많이 따지지 않나. 이번 작품도 원작이 워낙 사랑을 받은 작품이라 캐릭터의 싱크로율을 맞추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오디션을 통해 들어온 배우도 있는데 이때까지 했던 작품 다 통틀어서 가장 캐스팅이 쉬웠던 작품이다.
Q. 너무 아끼는 배우들이겠지만 연기력에 있어 몇몇 혹평을 받는 배우들의 기사가 요즘 뜨고 있다. 캐릭터와의 싱크로율 문제인지, 아니면 대본의 문제인지, 연기력의 문제인지 많은 추측이 오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연기력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편은 아니다.
김홍선 감독 ⓒ 넷플릭스 제공
Q. 명장면의 시나리오와 연출을 바꾸는 경우 연출자에게 있어서의 책임은 '바꿔야만 했다'는 명확한 의도를 넣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감독님이 시나리오를 수정하면서, 그리고 그 장면을 연출하면서 이런 장면은 이러한 의도를 일부러 넣었다고 말하고 싶은 장면들이 있는지 궁금하다.
예를 들면, 박해수 배우가 사람들에게 섞이는 장면이 있는데 그 장면을 의도했는데 처음에는 마음에 드는 장면이었다. 현장에서도 그랬다.
Q. 더불어 원작에서는 영국 대사의 딸이 불법촬영 피해를 당하는 신이 등장하지만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에서는 그 딸이 남자친구와 영상통화를 하며 자신의 치마를 자발적으로 들추는 장면으로 각색됐습니다. 이러한 변화에는 어떤 의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장면 자체가 큰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본 작품에서 서구 분위기의 기준이었다면 이번에는 기준을 낮추자는 부분이었다. 노출의 수위라던지. 그런 장면을 다르게 표현하려고 했고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닌 것 같다.
Q. 더불어 남북한 사이의 이야기에 있어 사실적으로 허술한 점들이 많이 보였는데 대표적인 부분이 전종서 배우의 경우 북한에서 평생을 보낸 사람치고는 서울말을 잘 구사하고 내레이션 또한 서울말로 한다는 점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의도된 연출이었는지 궁금하다.
의도를 했다. 도쿄가 북한에 있다가 남한으로 내려오는 MZ세대의 캐릭터라고 생각했다. 빠르게 보여줘서 그렇지 도쿄가 북한에서부터 남한의 생활에 대한 준비가 됐었다고 설정하고 준비를 했다. 사투리에 대한 부분은 검수를 받고 현장에서도 코칭을 받으면서 연습을 했고 충실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김홍선 감독 ⓒ 넷플릭스 제공
Q. 더불어 통일 직전이라는 작품 배경상 극 중에는 남북한 사이의 정치적, 사회적 문제들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각색된 시나리오의 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일부나 국방부 관련해 자문을 얻었던 적이 있는지, 자료 조사는 어떻게 행해졌는지가 궁금합니다.
'통일을 해야 한다, 말아야 한다. 옳은 것이냐, 그른 것이냐'를 이야기하자는 것이 아니다. 이 작품을 구성할 때 대한민국에서 총기를 들고 은행을 털러 들어가는 그림이 나올 수 있냐는 틀에서 보고 그것이 구현 가능하고 인정이 부분이 있을지 고민했다. 그러다 통일 직전에 밀폐된 구역이 있다면 그런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작가분들이 자료 조사를 충분히 했다고 생각을 하는데 이것을 현실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희망적인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상황이 주어진다면 어떻게 보여질까 라는 부분에 포인트를 맞췄다.
Q. 기차를 타고 있는데 바깥의 높은 빌딩을 보며 신기해한다거나, 문명에 노출되지 않고 무지한 것처럼 표현된 신이 있었는데 이는 북한 사람들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부추기는 장면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에 대해 감독님 본인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차별과 편견을 부추기려고 만든 신은 아니다. 현재 시점에서 대한민국과 북한의 차이를 우리 기준에서 보여주자는 것이었다. 우리도 가본 적이 없어서 그렇지 차별과 편견을 부추기려고 한 것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Q. 종이의 집 시즌 2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궁금하고, 시즌 2가 제작된다면 어떤 식으로 각색이 될지 시청자들에게 어필하고 싶은 포인트가 있다면 밝혀줬으면 좋겠다.
결과에 따라 좌우되지 않을까 싶다. 결정된 사항이 아니기에 말하기 그렇다.(웃음)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1편만 이야기하자면) 큰 원작을 리메이크해서 또 다시 세계로 보여드리고 있다. 외국에 보여지는 모습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국내 시청자들이 더 재밌게 보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몰입감 있게 보시면 재밌을 것 같다고 말씀드리고 싶다.
Q. '종이의 집' 이외의 이야기지만 이번에도 '루카 더 비기닝' 인터뷰 때 물었던 질문을 다시 묻고 싶다. 다음에도 장르물을 하고 싶다면 어떤 장르물에 도전해보고 싶은가?
좀비물하고 크리처물을 하고 싶다. 그런 바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