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범에게 판결을 내려야만 하는, 하지만 소년범을 옹호하는 판사 역을 맡은 김무열이 '소년심판'(감독 홍종찬)을 통해 전 세계에 질문을 던졌다.
김무열은 '소년심판'에서 소년원을 다녀온 후 검정고시를 통해 판사가 된 인물로 소년범을 누구보다도 이해하고 진정한 기회를 주기 위해 노력하는 차태주 판사 역을 맡았다. 극 중에서 소년범을 혐오한다고 주장하는 심은석 판사(김혜수 분)와 대립하며 성장하는 과정을 그려내며 우리나라 속 소년범죄에 담긴 깊은 질문들을 풀어냈다.
Q.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OTT 플랫폼을 통해 공개됐고 해외에서도 큰 반응을 얻고 있다. 축하할 일인데 혹시 소감은 어떠한가?
리뷰를 볼 때 내가 영어가 짧아서 번역을 돌려서 보긴 하는데 느끼시는 것들이 다 비슷하시더라. 답답함, 먹먹함 같은 정서를 전달받으신 것 같다. 우리가 던진 질문을 국경을 넘어서 전달받으신 것 같다. 해외분들이 어떻게 느껴야 할지는 내가 드릴 말씀은 아니고, 이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실 기회가 있으신 것 정도가 바라는 것이다.
Q. 차태주는 가정폭력 피해자이자 소년범이었지만 이를 극복하고 법관이 된 인물이다. 차태주를 연기할 때 고민되는 지점은 무엇이었는가?
판사를 연기해 본 적이 없어서 직업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공부했었다. 차태주라는 인물은 과거 안 좋은 기억이 있고 다른 판사님들과는 다른 점이 있다. 소년원에 갔다 오고 검정고시를 통해서 판사가 된 사람이기에 과거를 어떻게 현재 극복했는지, 아직 과거를 대하고 있는가라는 지점을 고민했다.
Q. 모든 에피소드가 실화 바탕이고 지금 이 순간에도 벌어지고 있는 소년범죄가 많은 만큼 사실상 대한민국 사회에서 소년범에 대한 반감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런 사회에서 소년범에게 진정한 기회를 주고 싶어 하는 차태주 판사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많은 책임감과 깊은 생각이 들었을 것 같은데 가졌던 책임감이 있었다면 무엇인지 궁금하다.
작품을 시작하기 전에는 그런 깊은 생각까지는 미처 도달하지 못한 채로 역할을 맡게 됐다. 작품을 통해서 이 직업에 대해서 이해가 깊어지고 고민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내가 모르는 부분이 많았다는 생각이 생겼다. 그런 과정에서 책임감이 더 생겼다.
소년법 폐지라던가, 촉법소년 연령을 낮추는 것도 법들을 뜯어고치는 것에 대한 생각과 의견만 있었지 이런 일들이 왜 일어나고 일어난 후에 이들이 어떻게 사회에서 살아가는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지 못했다. 왜 피의자뿐만 아니라 피해자도 한 쪽으로 치우쳐진 시선들을 통해서 소외됐는지 대한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소년심판'을 연기하면서 답이 나오기 시작했다. 책임감이라고 하면 '이 문제를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 다 함께 머리를 모아서 하나씩이라도 풀어나가야 되겠구나'라고 생각했다. 그것이 나의 책임감이었다.
Q. 작품 속에는 다양한 악질적인 소년범죄들이 나온다. 차태주 판사라는 캐릭터가 지닌 가치관을 떠나 배우로서 마주하고 연기하며 피해자에게 감정이입을 많이 했을 것 같다. 인간 김무열로서 생각하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공감이 갔던 에피소드가 있는가?
아무래도 소년범들이 무면허 뺑소니 사건을 하게 된 에피소드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 같다. 모든 사건이 그러한데 특히 이 사건 같은 경우는 결과적으로 봤을 때 누가 피해자고 누가 피의자인지 그 부분을 함부로 이야기할 수 없었던 결말이었다는 생각이어서다. 판결은 내려졌지만 '그 결정이 과연 합당한 것인가, 이것이 맞는 것인가'라는, 피해자와 피의자나 남은 가족들의 장면을 보면서 결국 이 법이라는 것이 해결하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됐다. 개인적으로 답을 내릴 수 없는 질문이었다.
Q. 차태주는 어떤 상황에서도 아이들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판사다. 소년범을 혐오하는 심은석 판사와는 어떻게 한 팀이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차태주는) 흔히 말하는 고구마 캐릭터다.(웃음)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범죄를 그 나이에 감히 저질렀지만 우리의 약속대로 내릴 수 있는 법의 처벌이 있지만 '그 이후에 대해서 어떻게, 그 이전에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라는 고민을 놓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답답하시더라도 0.5 정도는 동의해 주셨으면 좋겠다.(웃음)
처음에는 차태주가 심은석을 이해를 못 한다. 엄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판사라고 오해를 하지만 예를 들어, 가출팸 에피소드가 있는데 소년이 병원 입원을 하게 되어서 환자 개인 정보를 알아야 해서 기입을 해야 하는 장면이 있는데 심은석 판사가 막힘없이 그 소년의 이름과 주소, 가족 관계를 써 내려간다.
결국 심은석 판사는 소년들에게 벌을 내려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그 기저에는 누구보다도 공정하고 많은 고민을 통해서 공정하게 판결하는 사람인 것이다. 그 고민을 위해서 자신의 몸을 내던지는 판사인 것을 차태주가 점점 알게 된 것 같다. 이성적으로나 차태주가 심은석에게 완벽하게 동화됐다고 생각할 수는 없지만 심은석 판사를 오해할 수 있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다.
Q. 배우 김무열에게, 인간 김무열에게 '소년심판'은 어떤 의미로 남은 작품인가?
배우가 어떤 연기를 다 해내면 감정의 카타르시스라는 것이 있어서 정화 작용이 생기는 것 같다. 치료의 목적으로서의 연기 치료도 있지 않나. 작품을 해내고 나면 아쉬움도 있지만 생리적으로 홀가분함이 있다. 특히 감정적인 소비를 하고 나면, 이야기를 하면 할수록 먹먹하고 답답해지는 것이 생기더라. 답을 내릴 수도 없고 표현하기도 힘든 감정들이나 생각들에 사로잡혔다. 많은 분들이 관심 있게 바라봐 주는 것이, 응원해 주시는 것이 큰 의미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