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수 ⓒ 넷플릭스 제공
"우리 사회의 그 누구도 소년범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배우 김혜수가 인터뷰를 통해 '소년심판'에 담긴 책임감과 우리 모두가 앞으로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에 대해 언급했다.
소년범죄라는 민감한 주제를 제대로 도마에 올린 넷플릭스 시리즈 '소년심판'(감독 홍종찬)은 대한민국 사회를 들썩이게 만들었던 소년범죄 실화를 바탕으로 소년범죄를 혐오하는 심은석 판사(김혜수 분)가 차태주 판사(김무열 분)와 소년들을 재판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어두운 과거사로 인해 소년범에 대한 혐오를 느끼고 편견을 가지게 된 판사 심은석은 회차를 거듭하며 심리적 변화를 겪는 인물이다. 그를 잘 표현하기 위해 배우 김혜수는 힘 있는 주요 대사를 하나하나 놓치지 않으며 다수의 명장면을 탄생시켰다. 그는 심은석 판사의 과제이자, 나아가 우리의 과제인 소년범죄를 바라보는 시점에 관해 소신 있는 의견을 밝혔다.
김혜수 ⓒ 넷플릭스 제공
Q.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시청자들과 만나게 됐다. 특히 '소년심판'은 대한민국 소년범죄에 관한 이야기라 더욱 책임감 있게 작품에 참여했을 것 같다.
소년범죄와 소년범에 관해 한 번쯤은 고민해 보자는 의논이 있었고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아야겠다는 작가의 의지가 느껴졌다. 이 작품이 전달하려고 하는 메시지에 주력했다. 우리 사회 속 청소년 범죄에 관한 문제에 대해 우리가 함께 고민해 볼 만한 문제라는 생각을 했다.
Q. 소년범을 혐오하는 심은석 판사 역을 맡아 연기하는 것에 있어서 부담감이 있었을 것 같기도 하다.
이번 작품 같은 경우에 주제가 갖는 무게감이 상당했다. 다른 어떤 작품보다 책임감이 느껴졌던 것은 사실이다. 심은석으로서 단지 강한 캐릭터가 아니라 소년범을 혐오하지만 법관으로서 어른으로서 갖고 있는 신념을 통해서 소년범죄 가해자와 피해자 가족을 대하는 태도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했던 것 같다.
김혜수 ⓒ 넷플릭스 제공
Q. 심은석 판사는 재판을 할 때마다 피해자 사진을 앞에 항상 둔다. 피해자를 무한하게 아끼는 모습도 있지만 막상 피해자를 만나면 냉철하게 대해야 하는 반전 매력의 심은석 판사 캐릭터를 표현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 같다.
(감사하게도) 감독님이 내 마음처럼 카메라에 잘 담아주셨다. 준비할 때부터 잠들기 직전까지도 심은석을 놓고 싶지 않았고 놓아지지도 않았다.
차태주 판사가 심은석 판사에게 "소년범 판사가 가해자에 대한 분노로 소년범을 대하냐"라고 따지는 장면을 촬영할 때 리허설을 했는데 하면 할수록 김무열 씨의 감정에 너무 동화됐다. 심은석은 그런 것에 동조를 하지 않는 캐릭터인데 계속 그렇게 돼서 양해를 구하고 리허설을 그만하고 바로 촬영한 적이 있다.
연기하면서 너무 가슴이 아팠다. 피해자 가족에게 이입하는 방식은 앞에서 함께 울어주는 것이 아니었기에 그 스탠스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았던 것 같다.
김혜수 ⓒ 넷플릭스 제공
Q. 대사 하나하나 놓치지 않고 진심으로 연기하는 모습이 너무 인상적이었다. 특히 "아이들을 위한 법을 아이들을 밟고 개정합니까?"라고 묻는 신이 일품이었던 것 같은데 이런 중요 대사들을 더욱 힘 있게 전하기 위해 중점을 두고 노력했던 부분이 있는가?
실제 대사 자체가 주제의식을 담은, 무게감 있는 대사였다. 따로 대사를 잘 전달하기 위했다기보다는 그 대사가 품고 있는 진심에 주력했다. 한마디 한마디가 극 중에 심은석의 입을 통해 나오지만 우리 모두가 고민해 봐야 하는 말이었다고 생각한다.
Q. 성범죄 생존자에 대한 묘사가 가슴 아픈 작품이기도 했는데, "너의 잘못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부분이 굉장히 애잔했다. 같은 여성으로서 악질적인 범죄에 관한 많은 생각이 들었을 것 같다.
내 또래의 가까운 지인들은 학부모인 경우가 많다. 그 친구들에게 현실이 무서운데 어른으로서 내 아이가 가해자가 될 수도, 피해자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심은석이 누구보다 냉철하게 심판하는 법관임과 동시에 피해자인 설정은 우리 사회의 누구도 소년범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 모두의 문제가 될 수 있고 사회의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자 하는 작가의 장치였던 것 같다.
Q. '소년심판'의 심은석은 김혜수에 의해 탄생됐지만 심은석에 의해 인간 김혜수의 어떠한 부분이 채워졌던 것 같기도 하다. 캐릭터를 통해 얻은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모든 작품이 준비 과정부터 최종 과정까지 많이 배우고 얻는 것이 있다. 그 순간은 알 수 없지만 나중에 느껴질 때가 있는데 이번 작품도 그랬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변화를 준 것이 많다. 세상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이나 인식이 변화하게 됐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어른으로서 지속적인 관심이 생기려면 노력이라는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