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소설 <토지> 등을 집필한 고(故) 박경리(1926~2008) 작가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박경리문학상’의 여덟 번째 수상자로 미국 소설가 리처드 포드(74)가 선정되었다. 25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는 리처드 포드 작가가 참석한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작가와 문학여정을 함께한 그의 아내 크리스티나도 참석했다.
1976년 소설 <내 마음의 한 조각>으로 데뷔한 리처드 포드는 1986년 출간한 세 번째 소설 <스포츠라이터>를 통해 퓰리처상과 펜 포크너 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타임지가 선정한 ‘그 해 최고의 소설’로 선정되기도 했다.
올해 박경리문학상에는 모두 212명의 작가들이 예심 후보로 추천되었고, 그 중 인도의 아미타브 고시(Amitav Ghosh), 살만 루슈디(Salman Rushdie), 알바니아의 이스마엘 카다레(Ismail Kadare), 아일랜드의 존 밴빌(John Banville), 미국의 리처드 포드(Richard Ford) 등 다섯 명의 작가가 최종후보군에 올랐다.
리처드 포드 작가는 “박경리문학상을 수상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문화를 통해 서로 교류하는 행위 자체가 기적처럼 느껴진다”며, “이번 수상은 나를 겸손하게 만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리처드 포드의 대표작 <독립기념일>의 새로운 번역본(문학동네)이 소개되었다. ‘가장 미국적인 작가’, ‘미국적 리얼리즘의 정수를 표현하는 작가’라는 저자소개에 대해 작가는 “그런 전형적인 표현에 동의하기 힘들다. 미국은 다양성이 공존하는 곳이다. 내 소설은 미국을 배경으로 하지만 전 세계 모든 독자가 공감할 수 있는 문학을 하는 게 목표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작가 한강에 대한 질문을 받은 리처드 포드는 친구의 권유로 <채식주의자>와 <소년이 온다>를 읽었다며 “두 작품은 상이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듯하다. <소년이 온다>를 읽을 때는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슬픔을 느꼈다. ‘대학살’(소년이 온다)을 작품에서 읽게 되는 것은 일종의 ‘특권’을 얻은 느낌이었다.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책을 읽음으로서 삶의 현실을 견딜 수 있게 만드는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채식주의자>는 현대를 정치적으로 풍자하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남녀관계, 가족관계의 양상을 통해서 표현이 되었다. 그러한 모습들이 현대 한국의 가족관계와 사회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또한 이 책은 하나의 창작된 세계를 보여준다.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에는 벌레로 변하는 남자가 나온다. 그 작품처럼 현실이 아닌 것에서 사회 속 관계에 대해 풍자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리처드 포드는 “독자로서 항상 타인과 대화할 수 있는 자세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화를 나누는 속에서 어떤 때는 ‘반대’를 이야기할 수도 있고, 몰랐던 걸 배우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작금의 미국 상황은 안타깝지만 책 안에서는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KBS미디어 박재환)